평화책

12월, 이달의 평화책 12권

평화바닥 2024. 12. 31. 17:33

 

 

《다민족 사회 대한민국 - 이주민, 차별, 인종주의》
_ 손인서 (지은이) | 돌베개
사회학자인 저자가 인종주의는 한 사회가 기득권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기획의 결과물로 보고 이런 인종 기획에 대해 분석합니다. 한국의 이민 정책과 다문화 정책을 역사적으로 살피고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하며 기득권의 이익을 위해 이주민을 사용하되 책임지지 않는 한국사회가 있음을 논증합니다.

《돌봄의 역설 - 모두가 원하지만 아무도 하고 싶지 않은》

_ 김준혁 (지은이) | 은행나무
의료윤리학자인 저자가 양육, 교육, 의료, 요양에 이르는 돌봄의 다양한 영역을 다루며 돌봄을 원하지만 돌보고 싶어 하지 않는 역설적 상황을 분석합니다. 돌봄의 양을 늘리는 것으로는 돌봄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돌봄을 어떻게 잘 주고받을 것이냐가 중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모두가 모두를 돌보는 함께-돌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돌봄윤리를 제안합니다.

《모든 위기는 연결되어 있다》

_ 조현철 (지은이) | 파람북
신부이자 학자이자 시민단체들의 활동가인 저자가 여러 곳에 쓴 글을 다듬어 생태환경, 노동, 평화 등의 주제로 묶었습니다. 다양한 위기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보이며 자본주의사회의 한계를 넘기 위한 대안적 삶을 제안합니다. 이는 이상적 주장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적이라고 말합니다.

《문화의 수수께끼를 풀다 - 문화 상대주의로 세상을 인류학의 모험가들》

_ 찰스 킹 (지은이), 문희경 (옮긴이) | 교양인바꾼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미국과 유럽을 지배했던 과학적 인종주의와 우생학에 맞서 문화 상대주의로 투쟁했던 문화인류학의 창시자인 보아스와 마거릿 미드 등 4명의 여성 제자 인류학자들의 삶과 사상을 엮은 전기입니다. 이들 아웃사이드 학자들이 과학적 인종주의를 어떻게 무너뜨리며 인류학의 역사를 바꾸었는지 담겨 있습니다.

《비커밍 어스 - 지구는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

_ 페리스 제이버 (지은이), 김승진 (옮긴이) | 생각의힘
과학 저널리스트인 저자가 지구의 역사를 통해 지구는 생물과 무생물이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생명체이자 유기체임을 이야기합니다. 지구 전역을 누비며 생물학적 요인과 지질학적 요인이 공진화해 온 존재임을 밝히며 거대한 연결 속에 생명이 함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삶에 뿌리 내린 평화 - 가깝고 가능한 일상의 평화 이야기》

_ 평화저널 《플랜P》 (엮은이) | 생각비행
평화저널 《플랜P》에서 14호까지 담은 글 중에 고른 평화 이야기 17가지를 묶었습니다. 한국의 상황에서 국가안보의 차원에서 주로 이해되어 왔던 평화를 일상에서 마주하고 향유해야 할 평화들로 소개하고 관념이 아닌 미시담론으로 평화를 이야기합니다.

《역병, 전쟁, 위기의 세계사 - 위기는 어떻게 역사에 변혁을 가져왔는가》

_ 차용구 (지은이) | 믹스커피
역사학자인 저자가 세계의 역사 속에서 위기를 겪으며 어떻게 변화를 일구어냈는지 많은 사례를 통해 보여줍니다. 위기 상황을 어떻게 대처하고 어떻게 피하고 어떻게 관리했는지 살피며 오늘날의 팬데믹, 전쟁, 환경위기 등에 직면해 무엇인 필요한지 제안합니다.

《연루됨 - 인류학자의 세상 읽기》

_ 조문영 (지은이) | 글항아리
인류학자인 저자가 한국과 중국의 현장에서 빈곤을 연구하며 생활에서 사회적 고통의 얽힘을 발견하고 더 단단한 이해와 더 책임 있는 비판을 위해 쓴 글들을 묶었습니다. 세계의 고통을 제 삶으로 연결해낸 자들에 대한 모색이 담겨 있습니다.

《우리가 우리를 구한다 - 아마존 파괴에 맞선 부족 리더의 연대와 투쟁기》

_ 네몬테 넨키모, 미치 앤더슨 (지은이), 정미나 (옮긴이) | 알에이치코리아
아마존 원주민인 저자가 어려서 선교단에 들어갔다가 온갖 수모를 겪었고 선교를 통해 연결된 석유 기업들의 환경 파괴가 있음을 깨닫곤 아마존 숲을 지키기 위해 나선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석유 문명의 현혹을 뿌리치고 부족들의 연대를 만들어 땅을 지켜내기까지 고난의 투쟁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전선일기 - 전쟁 보도가 죽은 시대, 다시 현장에서》

_ 정문태 (지은이) | 원더박스
35년 넘게 분쟁 지역에서 현장을 취재해 온 기자가 전선기자로서의 기억과 교훈을 나누며 전쟁을 취재할 때의 마음과 자세, 전쟁 현장을 어떻게 목격하고 시민사회에 알려야 하는지 이야기합니다. 아프가니스탄, 예멘, 아쩨, 버마의 현장 취재와 체험이 담겨 있습니다.

《친밀한 착취 : 돌봄노동》

_ 알바 갓비 (지은이), 전경훈 (옮긴이) | 니케북스
작가이자 사회운동가인 저자가 돌봄노동의 중요성과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여성의 전유물이자 평가절하되어 있는 원인을 분석합니다. 돌봄은 사랑이라는 공식이 생겨난 정치경제적 이유를 추적하며 자본주의가 이 공식의 수혜자임을 보입니다.

《페미니즘 미술 읽기 - 한국 여성 미술가들의 저항과 탈주》

_ 김홍희 (지은이), 김혜순 (글) | 열화당
미술사학자인 저자와 시인인 저자가 반세기 동안의 한국의 여성 미술가들이 축적한 성과를 보여줍니다. 섹슈얼리티, 몸, 퀴어, 저항, 에코페미니즘, 디아스포라 등 페미니즘이 당면한 15가지 화두로 44명의 여성 미술가들을 소개합니다.

 

'평화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이달의 평화책 12권  (0) 2025.01.24
2024년 올해의 평화책 30권  (4) 2024.12.31
11월, 이달의 평화책 12권  (4) 2024.11.29
10월, 이달의 평화책 12권  (1) 2024.10.30
9월, 이달의 평화책 12권  (4) 2024.09.30